본문 바로가기
사회경제 상식나눔

주식 배당주 투자하기-배당기준일(배당락일), 고배당주 소개

by 아껴야 산다 2020. 12. 23.
반응형

 

* 배당

 : 주식회사가 이익금을 현금 또는 주식으로 할당하여 일부를 출자자나 주주에게 나누어주는 행위.

회사의 주인인 주주들에게 이익을 나누는 배당은 회사의 정책마다 다른데요.

카카오나 네이버 등 성장주들은 배당보다는 이익금 재투자를 통한 기업 성장에 더 신경쓰기 때문에 주가 상승으로 갚는다(?)라는 개념이며 은행이나 통신주 등 꾸준한 수익이 나오는 가치주의 경우에는 배당을 많이 주기로 유명합니다.

 

 

* 배당 기준일(배당락일)

 : 기업에서 배당지급 의사결정이 있을 경우 이러한 배당지급을 받기 위해 주주가 자신의 주권(shares)을 공식적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마지막 날을 배당기준일이라고 합니다. 배당기준일이후에 주식이 거래될 때 이를 배당락(ex-dividend)이라고 하지요.

 

1년 단위로 볼 때에는 12월 31일이 배당 기준일이지만 휴장이지요.

그래서 실제 배당기준일인 12월 30일이 되는데 우리나라는 주식은 2일 후에 반영이 되기 때문에 2일 전에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실제적으로는 12월 28일에 보유를 해야 배당이 나오는 결과가 나온답니다.

그리고 12월 29일이 배당락일이 되는 것이지요.

보통은 배당일 이후에는 주가가 쭉 빠지는 경향이 있어서 배당락이라고 합니다.

 

 

* 대표 고배당주

 : 제가 평소 지켜보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는 배당을 꾸준하게 주는 기업들을 소개해 드립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이며 대형주 위주로만 지켜보는 중이지만요^^

 

 - KT&G(약 5퍼)

 - 은행주(KB,신한 등- 약5퍼)

 - SK텔레콤(약 4퍼)

 - 맥쿼리인프라(약 6.4퍼)

 

이런 기업들이 대표적인 배당주로 불리우는 기업이랍니다.

 

 

특히 외국인들이 매우 좋아하는 배당주.

배당받은 것으로 다시 해당 주식을 산다면 복리의 효과까지 누릴 수 있는 좋은 투자 방법이 될 수도 있답니다.

 

12월이 되면 항상 관심사에 오르는 배당주들도 관심을 가져보시는게 어떨까요^^

 

 

* 내용 가운데 오류가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