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경제 상식나눔

EPS란 무엇일까?-주당순이익-

by 아껴야 산다 2021. 1. 7.
반응형

* EPS란?(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정해진 기간 동안 해당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그 기업의 평균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

회사의 주식 1주가 얼마나 이익을 벌어들였는지 나타내는 것이지요.

 

EPS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역시 당기순이익과 주식 수 라고 볼 수 있는데요.

 

당기순이익이 커지면 EPS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반대로 주식 수가 늘어나면 EPS는 낮아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주식 수가 늘어나는 경우는 전환사채와 유상증자 및 무상증자 같은 경우가 있을 것 같네요^^

 

아주 쉽게 생각하면 EPS가 높다면 주식 수 대비 돈을 잘버는 수익성 좋은 기업이란 뜻이며

투자하기에도 좋은 기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절대 EPS가 높다고 무조건 주가가 오른다? 이런 생각보다는 여러 변수와 시장에서 그 기업의 섹터에 주는 멀티플 계산을 보시고 들어가셔야 할 것 같아요.

 

 

삼성전자와 셀트리온(우리나라 대표 회사중 2개만 뽑아보았습니다.)을 경우로 보자면...

 

2021년 1월 7일 기준 삼성전자의 추정EPS는 3,988원으로 주식 1주(83500원)당 4천원 가량 벌어들였다고 볼 수 있네요...

와우... 그리고 셀트리온을 보면 1주(358,500원) 당 추정 EPS가 4,325원이구요.

어라 EPS는 비슷... 하지만 주가는 거의 4~5배 차이가 나니 그만큼 바이오 기업인 셀트가 수익대비 주가가 비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식투자는 심리전이라 어떠한 절대 기준이 없는 것이 어려운 것 같아요.

저도 공부하면서 더욱 혼란스러워지는 것을 보며...

투자가 쉽지 않음을 느끼고 있답니다^^

 

하지만 돈이 일을 하게 만들어라는 명언을 기억하며! 우리모두 투자 화이팅이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