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경제 상식나눔

미국 장기채 투자! TLT? TMF?

by 아껴야 산다 2023. 7. 20.
반응형

 

 

 

미국 장기채권 투자! TLT? TMF?

 

코로나 위기가 끝나갈 무렵, 찾아온 인플레로 미국 등 여러 정부는 금리인상 카드를 꺼내들었지요.

 

금리인상으로 경제 수요를 위축시켜 경기 과열을 막으면서 물가 인상을 막겠다는 전략으로 미국 장기 금리가 10년전 고점을 뚫고 4퍼센트를 넘는 무서운 모습을 보이고 있답니다.

 

물론 기준금리는 단기이기에 장기는 조금 더 느리게 오르고 느리게 내리는 특징을 보아도 역대급 변동성의 한 가운데에 우리는 서있는 것 같네요.

 

금리에 대해서는 다른 글에서 자세히 다루기로 하고... 우리 투자자는 일단 단기에 오른 금리로 가격이 내려간(금리와 채권가격은 반비례함) 채권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어요.

 

금리 인상이 끝날 무렵부터 인하로 가게 되면 떨어진 채권 가격이 반대로 오르게 되는 거의 확정적인 미래에 대한 배팅이지요!

 

여기서 미국 장기채권을 다루는 ETF를 찾아보면 대표적인 것이 미국 20년물 이상 채권 수익률을 추종하는 TLT가 있답니다. 그리고 여기에 3배 레버리지를 태우는 TMF까지... 우리나라 사람은 역시 레버리지의 민족답게... 이미 많이들 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TLT는 제로금리 시절 가격이 최고로 비쌌으며 금리가 높은 시절일수록 가격이 낮아지는 특징을 보입니다.

단순히 10년치로만 늘여 보아도 매우 저평가 상태인것을 알수 있답니다.

 

한번 TMF 3배추종 상품을 보면...

레버리지로 녹아내린 것을 감안해도... 매우 낮아져 있는 상태임이 분명하죠.

 

그럼 이제 언제 진입할 것이냐가 문제인데요. 보통 미국 장기채권은 마지막 금리 인상을 전후하여 고점을 찍고 단기보다 먼저 내려가기 시작하다가 금리 인하를 시작하면 힘을 받아 미리 내려가는 특징을 보여왔답니다.

계속 최종 인상 시기가 느려지고 최고 금리가 올라가고는 있지만... 5프로를 넘어선 지금은 한계점이라 보고 있네요.

 

만일 경제침체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더욱 가파르게 금리인하를 예상하는 수요+안전한 자산인 채권으로 옮기려는 수요 가 맞물려 큰 수익을 줄 수도 있구요.

 

미국의 경제가 금리 인상기에 노랜딩으로 끝날지, 연착륙일지, 경착륙일지... 그건 저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하지만 3가지 모든 경우에도 금리는 결국 내려가게 되어 있다고 생각하기에 저는 미국 장기채에 올인중인 것이지요.

(물론 경기침체로 인한 경우가 수익률은 제일 높을 수 있지만요...)

 

혼란스럽고 예측 불가능한 2023년 증시... 혹은 미래에도 같은 일이 발생할지는 모르지만...

저는 저평가된 자산에 묻어놓는 투자 스타일이기에 미국 장기채권 투자는 지금으로선 매우 매력적인 투자처 같아요^^

 

 

반응형

'사회경제 상식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교사 봉급표 소개  (0) 2023.07.20
2023년 미국주식 휴장일 알아보기  (0) 2023.07.20
EPS란 무엇일까?-주당순이익-  (0) 2021.01.07
2021 교원 봉급표  (0) 2021.01.06
2021 공무원 봉급표  (0) 2021.01.06